한국어
    • 한국어
    • ENGLISH
    • 日本語
    • 中文-繁體

    2019.10.17 Creator Crew

    스스로의 한계를 뛰어넘어 단단하게 성장하는 권진아

    Creator Crew:
    엔씨의 콘텐츠와 자신의 크리에이티브를 연결해 즐거움을 확장시키는 사람들

    즐거움의 다양한 모습을 음악으로 이야기하는 . 권진아는 이번 피버뮤직 <우리 시작해도 괜찮을까요>를 통해 정준일과 '용기'를 노래합니다. 권진아는 이 곡의 가사 작업에 참여하면서, 사랑을 시작할 때의 복합적인 감정을 담고자 했다는데요.

    인터뷰를 통해 곡에 대한 이야기와 본인의 경험과 생각이 어떻게 음악에 녹아들었는지 들어봅니다. 경험을 솔직하게 노래하는 그녀의 이야기를 들어보겠습니다.


    사랑을 시작할 때의 설렘과 두려움. 이 복합적인 감정들이 날 즐겁게 한다

    이번 에서 피버뮤직으로 정준일과 듀엣곡 <우리 시작해도 괜찮을까요>를 발표했다. 이 곡의 작사에 참여했다고 들었는데, 어떤 내용의 곡인지 소개해달라

    <우리 시작해도 괜찮을까요>는 시작하는 연인의 관계를 그린 곡이다. 연애를 시작할 때는 떨리고 설레는 마음이 가장 크다. 하지만 아직 확실하지 않은 관계에서 오는 두려움이나 걱정도 있다. 나는 그 복합적인 감정이 싫지 않고 오히려 좋다. 그래서 연애는 시작할 때가 가장 좋은 거 같다.
    이번 피버 뮤직의 주제는 ‘용기’지만, 전체적으로 즐거움을 이야기한다고 들었다. 서로의 마음을 확인하기 위해 누군가 용기를 내는 거. 이건 정말 즐거운 용기가 아닐까. 그런 감정을 담아 가사를 쓰고 노래를 했다. 잘 전달됐으면 좋겠다.

    정준일과는 첫 작업이라고 들었다. 함께 작업한 소감이 어떤지

    오랜만에 누군가와 듀엣을 하게 됐는데, 정준일 선배님이라 더없이 설레고 기분이 좋다. 선배님은 어렸을 때부터 막연하게 ‘정준일? 가수!’ 감탄을 만드는 연예인이었다. 아직도 같이 듀엣을 했다는 게 믿기지 않는다.

    정준일은 어떤 아티스트라고 생각하는가

    슬픔과 우울의 그 가운데에 있는 스윗함을 노래하는 아티스트 같다. 그런 감성을 닮고 싶고 서로 겹치는 감성도 다소 있는 거 같다. 그래서 함께 노래를 부를 때의 감성이 듀엣으로 무척 잘 어울리지 않을까, 감히 기대해본다.

    긴 터널이 다 지나가고 단단한 마음을 갖게 됐으니 난 운이 좋았지

    인생에서 가장 크게 용기를 냈던 일은 무엇인가

    가수가 되기로 결심한 것. 정말 큰 용기가 필요했다. 처음에는 가수를 꿈꾸는 자신을 인정하지 않았다. 그 꿈이 너무 소중하고 커서, 실패할 수도 있는 미래를 두려워했다. 그래서 꿈을 인정하기까지도 되게 힘들었다. 꿈을 향한 갈망을 마주 보고, 부모님께 말씀드렸던 그때가 인생에서 가장 크게 용기 낸 때가 아닌가 싶다.
    사실 누구보다 겁이 많아서 거의 모든 일에 용기가 필요한 성격이다. 티를 안 내려고 노력하는데 어쩔 수 없이 떨리는 순간들이 있다. 용기를 내기 전에는 계속 스스로 다독이며 잘 해보기 위해 많이 애쓰는 타입이다.

    본인에게 용기를 내는 건 어려운 일이었지만, 그래도 두려움을 딛고 가수가 되었고 좋은 반응을 얻었다. 그러면서 생각이 바뀌진 않았나. ‘뭐 어렵지만 해볼 만한 일이네’라고 생각하게 되거나 말이다

    그렇다. 지금은 예전보다 많이 용감해졌다. 용기로 인한 도전과 실패가 계속해서 연습이 되고 막상 도전했을 때, ‘뭐 별거 아니구나’ 이런 마음을 조금씩 먹어가면서 조금씩 조금씩 대담해지고 있는 거 같다.

    요즘 권진아에게 가장 즐거운 건 무엇인가. 본인을 열정적으로 몰두하게 만드는 게 있는지 궁금하다

    직접 곡을 쓰는 것이다. 노래 부르는 나를 인정하기까지도 시간이 많이 걸렸기에, 작사 작곡을 하는 뮤지션이 될 거라고는 생각 못했다. 그런데 어느 날, 유희열 대표님께서 ‘니가 곡을 써라. 그게 다 너의 좋은 밑거름이 될 거야’ 라며 조언을 해주셨다. 물론 처음에는 어렵고 서툴렀다. 물론 지금도 여전히 서툴지만, 하나씩 쓰다 보니 점점 재미가 붙는다. 매일매일 일기 쓰는 마음으로 내 이야기를 적고 있다.

    도전은 아티스트이자 창작자로서 어떤 의미인지

    도전에서 겪는 어려움, 아픔, 실패 등 그런 것들이 지나가면 달콤한 보상들이 주어진다. 성취감이 될 수도 있고 결과물이 될 수도 있고. 그것들이 결국 나를 앞으로 나아가게 만든다. 이번 앨범 첫 번째 트랙 <운이 좋았지>도 그런 내용이다. ‘긴 터널이 다 지나가고 단단한 마음을 갖게 됐으니 난 운이 좋았지.’ 이 가사가 ‘도전’에 대한 내 생각을 담고 있다.

    도전 과정에서 힘든 일과 마주했을 때, 이를 극복하는 자신만의 노하우가 있는지

    나를 사랑해주는 분들을 떠올리는 편이다. 응원해주는 사람들을 실망하게 하는 것을 두려워하는 부정적인 감정이 아니라, 어떤 이유 없이 무조건 사랑해주시는 분들에게 감사해서 그 힘으로 음악을 계속해서 하게 된다.

    누군가에게 위로가 되는 아티스트

    ‘이거 정말 멋있다.’고 생각하는 게 있나

    한국적인 것! 한국 사람만이 가지고 있는 어떤 한의 정서나 풍자와 민초들의 해학, 이런 것들은 우리나라만 가지고 있는 고유의 정서 같아서 무척 멋있다고 느낀다. 대부분의 한국에서 태어나고 자란 한국인이라면 모두가 공감하고 품고 있는 것 같다. 외국 팝에 많은 분들이 열광하지만 그 가운데 한국적인 색을 섞어서 녹이면 정말 최고다. 짱이다. 한국적인 게 제일 멋있다는 생각을 많이 해서 요즘은 판소리에도 관심 두고 있다.

    주로 어디서 영감을 얻는가. 나를 계속해서 창작하게 하는 원동력은 무엇인가

    가장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우울’, 하나는 ‘사랑’. 사실 사랑 안에 우울도 있고, 행복도 있고 다 포함된다고 볼 수 있는데 이 두 가지를 잇는 연결성이 내 원동력이 된다. 가끔 우울한 감정에 깊게 빠질 때가 있다. 그 순간에는 아무래도 너무 괴롭고 힘들다. 하지만 그때 쓰는 곡들이 대부분 다 좋다. 그 우울이 끝나고 찾아오는 사랑 또한 마찬가지다. 나를 사랑해주는 사람들을 떠올리고, 그 사랑을 직접 체감하고 느꼈을 때 오는 에너지. 그 에너지가 내게 영감을 준다. 이 과정이 나를 계속 창작하게 만드는 원동력이 된다.

    사람들에게 어떤 아티스트로 기억되고 싶은지

    여러 곳에 도움이 되는 사람이 되고 싶다는 생각을 많이 한다. 노래를 만들어서 누군가를 위로하는 게 될 수도 있고, 좀 더 넓게 노래하고 음악 하는 것 외에 인간 권진아로 누군가에게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그 도움이 ‘내 노래’가 된다면 가장 행복할 것 같다.

    * 본 인터뷰에서 언급되는 내용은 인터뷰 당사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NCSOFT의 공식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